순혈(純血) 논쟁 오늘날 유엔 회원국 수는 191개다. 그러나 비회원국과 자치지역 등을 모두 합하면 16일 현재 지구상에는 271개의 ‘국가’가 있다. 미 중앙정보국(CIA) 집계다. 그렇다면 그 많은 나라들 가운데 스스로 수천년을 이어온 단일민족국가임을 자부하는 나라는 얼마나 될까. 분명한 사실은 한국이 그 안에 반드..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5.18
독대(獨對) ‘기록정치’가 행해진 조선시대에는 임금과 신하가 배석자 없이 단둘이 만나는 독대(獨對)가 금기시되었지만 전혀 없지는 않았다. 적어도 조선 전기만 해도 독대가 심심치 않았다는 사실은 세종 7년 사간원에서 올린 글에서 짐작할 수 있다. “옛적에는 사관(史官)을 두어서 임금의 행동을 반드시 적..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5.18
깨끗한 책상 봄을 맞은 대학 캠퍼스는 이제 갓 대학 생활을 시작한 새내기들의 함성으로 가득하다. 새 학기를 맞아 대학의 시설물들을 정비하며,몇 년이 지나도 깨끗한 얼굴로 학생들을 맞는 강의실 책상들을 보면 몇 가지 생각이 머리를 스친다. 그리고 괜히 흐뭇한 웃음을 짓게 된다. 보통 강의실 책상들은 학생..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3.12
요즘도 詩를 읊으시는 가요? 글쓴이 beauty 얼마전 '詩의 시대 저물고 실용서적의 시대가 왔다' 라는 취지의 기사를 읽었다. 생각해보니 정말로 여고시절에는 자의에 의해서든 타의에 의해서든 김소월, 윤동주, 한용운, 서정주, 이해인 등의 시를 읽고 외웠었다. 또, 잡지에서 시구에 해당되는 글자를 한자씩 모아 오려 붙여 만든 책..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2.19
30억짜리 옥새 시가 30억 원대로 평가되는 다이아몬드 옥새(玉璽·사진)가 나왔다. 옥새 전각 장인(篆刻 匠人)인 세불 민홍규(世佛 閔弘圭·52) 씨는 16일 서울 중구 소공동 에비뉴엘 갤러리에서 개막한 작품전 ‘600년을 이어온 세불 옥새전’에서 봉황을 인뉴(印紐·손잡이)로 조각한 ‘봉황 국새’를 선보였다. 이 ..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2.19
풍자의 힘 마당놀이를 통해 연산군 시대의 조선 사회를 풍자한 ‘왕의 남자’가 관객 1000만명을 돌파했다. 영화계는 바야흐로 새로운 한국 영화사가 써지고 있다고 흥분하고 있다. 바다 건너 유럽에선 이슬람 창시자 무하마드 풍자만화가 실린 신문이 불티나듯 팔리고 있다. 당초 무슬림의 폭력적 항의로 바야..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2.19
"일본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 반환을" 월정사·봉선사 주축 환수위원회 구성 ◇정념스님 “일본은 ‘조선왕조실록’을 반드시 돌려줘야 합니다. 이것은 엄연한 관권에 의한 수탈로서, 유네스코 국제협약도 반환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일본 스스로도 남의 나라 왕조 기록을 갖고 있어야 할 이유가 없지 않습니까.” 조계종 4교구본사 ..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2.19
아버지, 대화가 필요해요 아버지는 어쩌다 아들에게 묻는다. “너 노래 잘 하냐?” “너 밖에선 말 잘 하냐?” 같이 노래방에 가보고 차 한잔 마시면 알 수 있는데도 묻기만 한다. 아버지는 가끔 딸에게 말한다. “일찍 일찍 다녀라” “결혼하면 이제 우리 식구 아닌거다” 애지중지 키웠으면서 마음에도 없는 말을 매몰차게 .. 우리 것이 좋아요.... 2006.01.14
눈 내리는 밤 옛글 뒤적이며 남녘 눈소식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스무날 내리 퍼붓고 있으니 말입니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모든 것은 낮아서/ 이 세상에 눈이 내리고’ 있는 걸까요. 그게 아니라면 올 한 해 덮어야 할 궂은 일이 그리 많았다는 뜻일까요. 올해의 마지막 해가 퐁당 하며 노을 아래로 가라앉으면 할머니와 할아버지.. 우리 것이 좋아요.... 2005.12.25
'합천의 가야' 다라국을 아시나요 옥전고분 발굴 20주년 내일 다라국史 학술회의 경남 합천 '옥전고분군'의 한 무덤. 지난 1985년 경남 합천군 쌍책면 황강변 구릉에서 왕릉에 버금가는 거대한 고총고분(高塚古墳·지배계층의 대규모 무덤)과 타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토기들,금동투구 등이 대거 발견됐다. 이후 다섯 차례 발굴조사 등을 .. 우리 것이 좋아요.... 2005.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