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小의 비밀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산동지방을 중심으로 한 소호(少昊)족의 문명이 동이(東夷) .. 역사 2010.11.06
[스크랩]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현존 最古의 阿-유라시아 지도와 그 내력 | 기사입력 2010-10-.. 역사 2010.11.06
[스크랩] 고조선과 漢나라의 금속기술 고조선과 漢나라의 금속기술 [조선일보 - 2006.06.29 ] 한국사 연구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중국보다 문명 수준이 낮았다”는 고정관념이다. 사대주의적 유학자들과 일제(日帝)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이 신화는 아직도 살아있다. 청동기는 구리·주석·아연의 합금인데, 중국 것은 주석 성분이 많은 반면 .. 역사 2010.10.29
[스크랩] 삼국유사에 나오는 전불前佛터에 관한 이야기 삼국유사에 나오는 전불前佛터에 관한 이야기 삼국유사에는 전불前佛터에 관한 이야기가 4번쯤 나온다. 신비한 이야기가 아닐 수가 없다. 한 번 살펴보자. 1. 삼국유사 탑상 제 4 옥룡집과 자장전 그리고 제가의 전기에는 모두 이런 말이 있다. “신라 월성 동쪽, 용궁 남쪽에는 가섭불의 연좌석이 있다... 역사 2010.10.29
[스크랩] 산해경에 나온 (고)조선도 불교의 뿌리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고종(高宗)은 왜 나라이름을 대한(大韓)이라 지었을.. 역사 2010.10.25
[스크랩] 버들가지는 백번을 꺽여도 새 가지가 돋는다.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 역사 2010.10.25
[스크랩] “단군신화가 日 천손강림 신화의 모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단군신화가 日 천손강림 신화의 모태” 단기 4343년 개천.. 역사 2010.10.09
[스크랩] 신비의 왕국’은 고조선 신비의 왕국’은 고조선 동북공정의 진실과 ‘요하문명’에서 발견한 한국 고대사의 실체 과학자가 고조선의 역사를 바로잡겠다고 나섰다. 고대사를 연구하는 일이 역사학자만의 몫은 아니지만 왜 역사학자를 앞장세우지 않고 직접 나서야 했을까. <과학으로 찾은 고조선>을 펴낸 저자는 프랑스.. 역사 2010.10.09
[스크랩] 환단고기의 23가지 실증사례 (2) 환단고기의 23가지 실증사례 (2) 열한 번째는 갑골문의 귀방이다. 은나라의 갑골문에서도 환단고기 단군세기의 기록이 사실임을 입증하는 유물, 유적이 발견되었다. 즉 BC 1291년 단군조선 제21대 소태단군 재위 때 은나라 왕무정이 ‘귀방’을 쳤다는 기록이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에 남아 있는데, 과연 .. 역사 2010.10.09
[스크랩] 산신각의 의미 산신각의 의미 1) 절에 웬 단군상인가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불교사찰이 있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에 들어온지 어언 2천년이나 되었으니 불교도 이제는 한국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불교가 우리 고유의 종교가 아닌 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우리.. 역사 201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