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400년 만에 외출 "선덕여왕 납시오"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펌 - 발췌] 1400년 만에 외출 "선덕여왕 납시오" 우리나라 최.. 역사 2010.10.09
[스크랩] 용의 기원도 고대한국 [밝은 앞날 되시기를] [꿈은 이루어진다] [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 간혹 보면 봉황은 고대한국의 문화이고 용은 중국의 문화.. 역사 2010.10.09
[스크랩] 고추모와 소서노의 민족적 사랑 사랑의 기억 (주몽 OST) 노래: 조수미 때없이 송두리째 흔들리네 그대 떠난 강가에 서노라면 때없이 송두리째 흔들리네 그대 떠난 강가에 서노라면 한 번 더 그 눈길 받아 봤으면 한 번 더 그 손길 잡아봤으면 내리는 빗속에 눈물을 감추려 아스라이 손짓만 나부꼈었지 내리는 빗속에 눈물을 감추려 아.. 역사 2010.09.29
[스크랩] 명나라 태조도 단군(檀君)께 존칭했다.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조선왕조실록의 태조 6년 3월 8일 기사에 보면 조선 외교사.. 역사 2010.09.25
[스크랩] " 한국사 제대로 밝혀라 " - 허성도 교수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 민족성지님이 게시판에 소개해주신 다음 글을 발췌하여 .. 역사 2010.09.25
[스크랩] 수 천 년전 호주의 동굴에 새겨진 이집트 문양의 비밀 수 천 년전 호주의 동굴에 새겨진 이집트 문양의 비밀 (*이집트의 죽음의 신 아누비스의 모습) 1907년 호주에서 캥거루를 잡아 가죽을 파는 직업을 가지고 있던 한 사냥꾼은 호주의 시드니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헌터밸 리에서 동굴로 들어간 캥거루를 쫓아 들어가다 동굴의 암벽에 새겨진 정체불.. 역사 2010.09.11
[스크랩] 대한제국 황제는 한일합방에 서명한 적이 없다.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일제는 한일합방이 대한제국 순종황제와 당시 일왕의 '정.. 역사 2010.09.11
[스크랩] 2010 대백제전 영상과 용봉대향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대백제전 영상 - 박정호pd 작 (가운데 삼각형을 누르세요.) [.. 역사 2010.09.11
[스크랩] “고조선, 한강문명권이 세워”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고조선, 한강문명권이 세워” 신용하 교수, 파격 학설 제.. 역사 201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