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우리가 사는 이 우주는 참 크다고 한다.
화성 등에 비해서는 지구(Earth)가 조금 큰 편이다. 우리가 학교에서 익히 배운대로 말이다. 햐~이거 목성(Jupiter) 크기만 해도 지구에 비해 어마어마하게 크다. 이걸 보니 이 태양계에서도 지구는 무지하게 작은 별인 건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런데........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Sun)을 중심으로 놓고보면 이거야 말로, 지구는 정말 작다고 표현하는 것 외에 다른 말이 안 떠 오른다.. 지구에 비해 직경이 109배, 부피는 130만배, 질량은 38만배 (33만배라고 하기도 함) 의 위용을 자랑한다. 시리우스(Sirius) 라고 하는 별은 이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로 알려져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천랑성(天狼星)이라고 부른다. 별자리 큰개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허블 망원경으로 바라 본 별, 시리우스 위 그림에서 보이는 아르크투루스(Arcturus)는 대각성(大角星)이라고 불리며, 별자리 목동자리의 가장 대표적인 별이다. 이젠 이거 갈 수록 태산이다. 시리우스도 크다고 했더니,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입이 안 다물어진다.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태양(Sun)에 비해 직경으로 약 1000 배의 크기라고 한다. 도대체 별의 크기는 한도 끝도 없는 걸까? 드디어 마지막 별을 소개할 순서가 되었다. 우리 인간이 발견한 이 우주에서 가장 크다고 인정받는 별은 다름아닌 VY Canis Majoris 라고 하는 별이다. 크기는 태양과 비교해서 자그마치 약 2100 배의 직경을 가진다고 한다.
|
'알송 달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예언서 추배도 화제, 60개 예언 중 55개 실현…남은 5개는? (0) | 2019.06.23 |
---|---|
8000년 전 모헨조다로 핵폭발 흔적 발견의 진실 (0) | 2019.06.22 |
너희는 지금 존재하는 것보다 더 진보된 문명을 지구에 건설했다.| (0) | 2019.06.16 |
일원적인 세계에서의 삶 (0) | 2019.06.16 |
현생에 육체를 갖고 온 것과 관련된 일이나 전생을 묻고 싶어요 (0) | 2019.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