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것이 좋아요....

[스크랩] 世界 최고급, 韓國의 활

황령산산지기 2016. 6. 28. 14:46

世界 최고급, 韓國의 활



세계 최고급, 한국의 활


 한국 활 - 세계 최고급 활

옛날 부여라는 나라의 금와왕이 태백산으로 행차하게 되었다. 그런데 왕이 산의 남쪽 우발수라는 못에 이르렀을 때, 웬 아름다운 여인 한 명이 초라한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아닌가.

왕이 이를 기이하게 여겨 여인에게 그 연유를 물었더니 여인 왈 “저는 강의 신 하백의 딸 유화인데, 천제의 아들 해모수와 허락 없이 혼인하였다하여 부모님께 쫓겨났습니다.”하더라. 왕이 이 여인을 거두어 별궁에 지내게 하자 다음 해에 큰 알을 낳았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자 그 알에서 잘생긴 사내아이 하나가 나와 7살 때부터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그 실력이 백발백중이었다. 그래서 그 아이에게 ‘활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의 주몽이라는 이름을 붙여 불렀다.

- 주몽설화 중 일부 -

뛰어난 명궁수는 훌륭한 활이 있어야만 만들어질 수 있는 법. 그 솜씨만큼이나 우리가 만들었던 활 역시 세계 최고수준의 성능과 품질을 자랑하는 명품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는지.

우리나라 활의 특징은?

◀ 잉글리시 롱 보우(English long bow). ⓒ

활은 그 길이에 따라 장궁(Long bow)과 단궁(Short bow)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거의 모든 활이 단궁에 속하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런 분류가 큰 의미가 없으나, 유럽에서는 122cm(4피트)를 기준으로 장궁과 단궁을 분류했다.

가장 유명한 장궁은 고대 영국인들이 사용했던 ‘잉글리시 롱 보우(English long bow)’이다. 길이가 170~180cm(5피트~6피트)에 달해, 중세 무렵 잉글랜드인들의 평균 신장보다 더 컸다.
활의 위력은 활이 가진 장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같은 재료, 같은 기술로 만들어졌다면 장궁이 단궁에 비해 분명히 더 위력적이다. 가장 일반적인 활인 조선시대 각궁은 분명 짧은 단궁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각궁의 최대 사거리는 340~360m로, 최대 사거리가 270m 정도였던 잉글리시 롱 보우에 비해 훨씬 길다.  분명 장궁이 단궁보다 멀리 나가야 정상인데, 어떻게 된 일일까?  그 비밀은 바로 활의 형태에 있다. 활은 형태에 따라 직궁(直弓)과 만궁(彎弓)으로 나뉜다.

직궁은 탄력이 좋은 나무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양쪽에 줄을 걸어 약간 휘게 만든 단순한 형태의 활이다. 따라서 줄을 풀게 되면 활은 곧은 직선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에 반해 만궁은 활줄을 걸지 않았을 경우, 보통 활이 휘는 방향과 반대로 뒤집혀 휘게 된다.
따라서 활의 길이가 짧다 하더라도 활이 가진 장력은 엄청나게 강해진다.

◀ 활줄을 걸은 활과 풀어 놓은 활. ⓒ

우리나라의 활은 대표적인 만궁이다.
특히 중국이나 터키 계열의 만궁은 활줄을 풀어 놓았을 때 완만한 호를 그리며 뒤집혀 휘어지는 데 반해, 우리나라의 활은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극단적으로 휘어진 모습을 가진다. 또한 이 때문에 보통 활들이 시위를 당겼을 때 완만한 ‘C’ 모양을 가지는 반면, 우리나라의 활은 ‘ㄷ’ 모양에 가까울 정도로 당겨진다.

활줄을 풀었을 때와 비교하자면 거의 180° 가까이 활이 휘어지는 대단한 유연성과 장력을 가진 활인 셈이다. 덕분에 활의 평균 크기는 다른 활들에 비해 가장 작지만, 사정거리와 성능은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런 활의 작은 크기와 뛰어난 성능은 말 위에서 활을 쏘는 전투를 가능하게 하는 큰 이점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활이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장력을 가진 또 다른 이유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만든 복합궁(Composite bow)이기 때문이다.

복합궁은 짐승의 뿔이나 뼈, 탄력 좋은 나무, 동물의 힘줄 등 다양한 재료를 접착제로 단단히 고정시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복합궁이 대나무나 나무만을 재료로 만든 활(단순궁)보다 탄성이 좋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하지만 복합궁은 재료가 다양하여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다. 아울러 동물성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 습도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복합궁 제작은 각각의 재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온도, 습도에 따른 철저한 관리가 뒷받침되어 주어야만 가능한 것이었다.

 
▲ 활에 들어가는 재료들 : ① 대나무 ② 소심줄 ③ 화피 ④ 민어부레 ⑤ 물소뿔 ⑥ 실 ⑦ 소가죽 ⑧ 삼베 ⑨ 참나무 ⑩ 뽕나무. ⓒ

우리나라 활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우리나라의 활은 7재(材)로 만든 우수한 복합궁이다. 여기서 7재(材)란 활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7가지의 재료를 가리키는 말로 물소 뿔, 대나무, 소심줄, 뽕나무, 참나무, 민어 부레풀, 화피를 말한다.

이렇게 동·식물성으로 이루어진 7가지 재료가 어우러져 제조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활은 ‘살아있는 활’이라고도 했다. 활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은 대나무다. 단단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왕대를 길쭉한 모양으로 다듬어 사용한다.

신축성이 좋고 빠르게 제자리로 돌아오는 성질 때문에 활에 사용하기에는 대나무만한 것이 없다. 그리고 그 대나무의 양쪽 끝에는 뽕나무를 잘라 붙인다. 활의 양쪽 끝에 위치한 활줄을 거는 곳을 만들기 위해서다. 뽕나무 역시 탄력성이 좋고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대나무와는 달리 서서히 신축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활의 유연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뿔을 붙이는 과정에서 물칠을 하는 모습. ⓒ
그 다음은 물소 뿔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활의 각궁(角弓)이라는 이름도 물소 뿔을 이용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물소 뿔은 길쭉한 모양으로 얇게 잘라 민어 부레로 만든 어교(魚膠)를 이용해 활의 전면에 단단히 붙여 준다. 뿔 1개를 사용하여 활 반쪽을 붙일 수 있으므로 활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뿔 2개 즉, 물소 1마리분의 뿔이 사용되는 셈이다. 물소 뿔의 특징은 탄력성이 강하면서도 그 강도가 장기간 지속되어 버티어주는 힘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또한 열을 이용하면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 작업이 쉽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활을 쏘는 사람에 맞추어 활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 몽골의 전통 활, 우리나라와 비슷한 만궁, 복합궁이며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
/꿈꾸는 과학 윤나오 blue-feather@hanmail.net
----------------------------------------
활이 커지면 화살을 당겼을 때 화살이 걸려있는 시위의 각도가 커져서 화살을 잘 채지 못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활장의 힘이 화살에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활이 커질수록 활의 효율은 줄어들게 마련이다. 그래서 한국활은 불필요하게 크게 만들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활은 그 모양과 구조가 [단순 탄력]이 아니라
[이중 탄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국양궁이 세계최고인것은 우연이 아니다. 한국 외에 세계적으로 활로 유명한 곳은 몽골, 터키인데 몽골은 만주 북서부에 위치해서 고대부터 한국과 친숙하고 터키는 범만주지역의 돌궐인들이 가서 세운 나라이기 때문에 역시 한국과 문화, 정서가 비슷한것 많다. ( 현 터키인들은 많은 민족들이 섞인 사람들.)
한국,몽골,터키...이를 볼때도 활의 종주국 역시 한반도 
BGM


 



출처 : 화 목 한 사람들
글쓴이 : 아리수여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