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대고려님의 소개에 의하여 기사를 소개해 드립니다.
------------------------------------------
[집성촌]
발해 건국한 대조영 후손 영순(永順) 태씨(太氏) 마을
- 주간매일 [제1345호] 2009년 06월 18일 / 전수영기자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중국은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통해 발해를 자기네 역사라는 억지 논리를 펴고 있다.
우리 민족의 자긍심 찾으러 영순(永順) 태씨(太氏) 마을(경산 남천면 송백2리)을 찾았다.
이 마을은 바로 발해를 세운 대조영의 직계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는 전국 유일의 집성촌이다.
현재 송백리에 살고 있는 영순 태씨 일족은 30가구, 140여명.
발해의 전신인 진국(震國)을 세운 대중상(대조영의 아버지)을 시조로 하고 있는 44, 45세손들이다.
영순 태씨 마을은 경산의 진산이자, 남천의 발원지인 선의산(760m) 자락에 있다.
전형적인 배산임수형 농촌마을로 소나무가 많아 예전엔 송천(松川)으로 불렸다.
아늑한 풍경 속의 이 마을에서 후손들은 복숭아`감`포도 농사와 한우를 기르며 옛 선조들의 웅대한 기상을 늘 품고 살아오고 있다.
태씨의 발자취를 보면 고구려 장군이었던 대중상이 아들 대조영과 함께 고구려가 멸망한 지 28년 뒤인 696년에 동모산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인 진국을 세운다.
대중상이 죽자 대조영은 2년 뒤에 나라 이름을 ‘발해’로 바꾼다.
( 펀주 : 이 부분은 중국사서에 의거하여 나온 얘기로 사실과 다릅니다.
발해는 스스로의 나라이름을 '발해'라고 한 적이 없습니다.
발해는 스스로의 나라이름을 [진국(震國)] , [고려(高麗)]라 했는데
고려(高麗)는 고구려의 부활을 뜻합니다.
발해는 스스로를 고려(고구려)라 불렀다. <- 관련글 )
발해는 229년 동안 15대 황제가 재위하며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대제국이었다.
마지막 황제였던 대인선의 아들 대광현은 934년 수만명의 유민을 이끌고 고려로 망명했다.
삼국유사`고려사를 비롯한 여러 역사서와 사료가치가 있는 협계 태씨, 영순 태씨 족보 등에는
고려 태조 왕건이 망국의 세자로 망명한 대광현과 발해의 신하들에게 벼슬을 내리고 유민들을 고려와 한 뿌리로 여겨 후히 예우했다고 나와 있다.
‘대씨(大氏)’가‘태씨(太氏)’로 바뀐 것은 고려 헌종 이후 활동했던 인물 가운데 대씨가 아닌, 태씨가 나타난 것으로 미뤄 고려 중기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태씨의 본관은 크게 협계(陜溪)와 영순으로 나뉘는데 협계 태씨는 현재 전북 임실과 옥구 등지에 살고 있고 정유재란 때 남원성 전투에서 왜군과 싸우다 대부분 순절해 후손이 많지 않다.
영순 태씨는 대중상의 31세손인 태순금 일족이 임진왜란 이후 문경 영순면에서 경산 남천면 송백리로 옮겨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
영순 태씨는 매년 춘분(3월 21일 무렵)이면 송백리 사당에서 춘계향사를 지낸다.
이 사당은 조선 중종 때 춘추관 편수관을 역임한 대중상의 29세손인 서암(西庵) 태두남(太斗南)의 위패와 가보(家譜)를 소장한 곳이다.
서암 선생은 청백리로 유명하고, 지금은 예천의 옥천서원에 배향돼 있다.
귀면와(鬼面瓦)와 연꽃무늬 기와 등 발해의 건축양식을 고스란히 간직한 사당에서 이들은 한때 고구려의 옛 땅을 대부분 차지하고 북방을 호령했던 선조들의 기상을 기린다.
서당 뒤편의 쭉쭉 뻗은 대나무는 서암 선생의 올곧은 정신을 보는 듯 하다.
영순 태씨들은 대조영의 후손인 것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영순 태씨 44세손인 태충만(57) 이장은 “중국에 가면 태씨나 발해의 후손이 없다”며 “그 넓은 발해 땅을 다 잃어버렸다”고 통탄했다.
발해의 직계 후손으로서의 활동도 활발하다.
2005년 해군에 실전 배치된 대조영함과 자매결연을 했고, 발해 탐사대도 지원하고 있다.
해군의 초청으로 대조영함 명명식에도 참석했다.
또한 2년 전 인기 드라마였던 ‘대조영’(KBS1) 방영 때는 밭일을 하다가도 뛰어와 드라마를 봤으며, 도시에 나간 자식들에게도‘대조영’방영시간이 되면 꼭 보라고 매번 전화할 정도였다고.
발해사 연구를 위해 일본 NHK 방송이 이 마을을 찾아오는 등 발해의 옛 자취를 찾는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영순 태씨 족보는 다른 족보와 달리 발해의 기원, 발해 왕세 약사, 지리와 강역, 관제와 문물, 외교문서, 연표, 대씨가 태씨로 변한 사실 등 발해와 태씨의 역사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학계에선 발해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중국의 동북공정을 무너뜨릴 중요한 사료로 평가하고 있다.
1970년대 부총리를 역임한 태완선(1988년 작고)씨와 1960년대 대구시장을 지낸 태종학(1997년 작고)씨가 문중 출신이고, 원로 탤런트 태현실(67)씨도 일가이다.
출처 - 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345&seq=22463
-----------------------------------------------
배경음악은 한국전통악기인 해금(奚琴) 연주곡입니다.
해금 In Melodies Vol.1 - 신날새
01. Song From A Secret Garden
02. Salley Gardens
03. Forever (스트라토베리우스)
04. 찔레꽃
05. What A Wonderful World
06. Jeg Ser Deg Sote Ram (당신은 소중한 사람)
07. I'll Wait For You (영화 '쉘부르의 우산')
08. Solitude
09. Serenade (F.P. 슈베르트)
10. Princess Of Goguryeo
11. 토지 (SBS 대하드라마 '토지')
12. 찔레꽃 (노래: 신날새)
-----------------------------------------------------
[홍익인간]의 정신은 [사해동포주의]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민족,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공연히 배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다이나믹 코리아, 게이트웨이 투 더 월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보강 - [신라는 한(韓)에도 속하고 왜(倭)에도 속한다]는 말에 대하여 (0) | 2011.09.03 |
---|---|
[스크랩] 한국 문화재 사진 몇점 2 (0) | 2011.07.09 |
[스크랩] 中 요동 땅 반환 제의, 북한이 사양했다. (0) | 2011.06.10 |
[스크랩] 일본 문자, 한국에서 유래 (0) | 2011.06.10 |
[스크랩] 한국이 세계 최초인 것들 (0) | 201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