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中 요동 땅 반환 제의, 북한이 사양했다
모택동, 북에 "당신네 국경이 과거 ‘요하’였소" 말해
中 교수, 1964년 10월 모택동-북 대표단 대화록 공개
[ 뉴데일리 2011.06.04 ]
중국의 모택동 주석이 지난 1964년 북한 측에 요동을 포함한 중국 동북지방을 넘겨줄 것을 시사했으나
북측이 이를 사양했다는 주장이 양측간 대화록을 근거로 제기됐다.

3일 호주온라인뉴스에 따르면 문제의 대화 내용은 중국 최초의 냉전 사학자로 알려진 상하이 소재 화둥사범대학교 냉전사연구소장 선 즈화 교수가 공개한 것으로
시드니 모닝 헤럴드 지가 최근 보도했다.
헤럴드 지는 이날 베이징 주재 특파원 기사를 통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최근 중국 방문에 대한 선 교수의 분석을 인용하면서 이같은 사실을 전했다.
베이징대 겸임교수이기도 한 선 교수는 역시 냉전사학자인 부인(리 단후이)과 함께 1990년대 중반에 100만 위안 이상의 사재를 털어
소련의 기록보관소 문서들을 몇 박스나 복사, 운반해 왔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들 부부는 수개월 동안 복사기 5대를 태워 먹으면서 밤낮으로 작업하여 민감한 문서 상자들을 공안국에 근무하는 동생을 통해 중국으로 가져왔다는 것.
이들은 소련 측 문서를 통해 일단 중국의 대북한 관계 처리에 대한 소련 측 시각을 접하게 되면 중국 측 시각을 반영하기 위해 중국 기록보관소 접근을 허용해 주도록 중국 관리들을 설득했다.
선 교수는 "그가 발견한 가장 놀라운 사실은 1964년 10월 7일 모택동과 중국을 방문 중인 북한 관리들 간에 있었던 대화 내용"라고 밝힌 것으로 헤럴드는 전했다.
당시 모택동은 랴오닝(요녕)성을 가르는 강을 지칭하며 "당신네 국경이 과거 ‘요하’였소"라면서 "하지만 봉건제가 조선인들을 압록강 너머로 쫒겨가게 했소"라고 말했다.
이때 북한측은 모택동에게 그들이 요하 동쪽의 땅을 원치 않으며 이미 갖고 있는 것에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어 모택동은 "그래서 우리는 동북지방을 전부 당신네 후방지역으로 만들어 주겠소. 요하 땅보다 큰 지역이오"라고 말했으나
북한측은 "다시 정중하게 반대했다"고 신문은 선 교수를 인용, 보도했다.
출처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81306
-------------------------------------------------------------
위 내용이 사실이라면
모택동이 왜 요동을 포함한 만주를 북한에 주겠다고 했는지
북한은 그것을 왜 거절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여도
요동을 표함한 만주가 원래 한민족의 영역임을 모택동도 밝히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하겠습니다.
사실 근세에 만주에서 발원하여 창건된 청나라 왕조 이전의 중국에서는
요동을 표함한 만주가 '중국 고유의 영토'라는 개념이 없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모택동도 그러한 얘기를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청나라 황제는 신라 마의태자의 후손?! <- 관련글
아래 영상은 Do You Know South Korea? 라는 영상입니다.
외국인이 만든 한국소개 영상이라 합니다.
물론 한국을 제대로 소개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영상이라 생각되지만
보실 분 보시기 바랍니다.
( 삼각형 누르시면 영상 돌아갑니다. )
[ 과거와 현재는 미래를 위해서 존재한다.]
-----------------------------------------------------
[홍익인간]의 정신은 [사해동포주의]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민족,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공연히 배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다이나믹 코리아, 게이트웨이 투 더 월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문화재 사진 몇점 2 (0) | 2011.07.09 |
---|---|
[스크랩] 발해 건국한 대조영 후손 태씨(太氏) 마을 (0) | 2011.06.25 |
[스크랩] 일본 문자, 한국에서 유래 (0) | 2011.06.10 |
[스크랩] 한국이 세계 최초인 것들 (0) | 2011.05.28 |
[스크랩] `일본 국보 1호` 도 한국의 작품 (0) | 201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