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국보1호 숭례문(남대문)의 문(통로) 천장
조선시대
국보 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조선시대
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驪州 高達寺址 僧塔)
고려시대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백제
국보 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통일신라
국보 제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백제
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조선시대
국보 제14호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조선시대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통일신라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고려시대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국보 제24호
경주 석굴암 석굴(慶州 石窟庵 石窟)
통일신라
국보 제26호
경주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慶州 佛國寺 金銅 毘盧遮那佛 坐像)
통일신라
국보 제35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求禮 華嚴寺 四獅子 三層石塔)
통일신라
국보 제40호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
통일신라
국보 제44호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ㆍ北 三層石塔 및 石燈)
통일신라
국보 제48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고려시대
국보 제49호
예산 수덕사 대웅전(禮山 修德寺 大雄殿)
고려시대
국보 제50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靈巖 道岬寺 解脫門)
조선시대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江陵 臨瀛館 三門)
고려시대
국보 제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조선시대
국보 제53호
구례 연곡사 동 승탑(求禮 ?谷寺 東 僧塔)
통일신라
국보 제57호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통일신라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며, 대부분 잘 남아 있으나 아쉽게도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없어진 상태이다.
국보 제62호
김제 금산사 미륵전(金堤 金山寺 彌勒殿)
조선시대
국보 제64호
보은 법주사 석련지(報恩 法住寺 石蓮池)
통일신라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물을 담아두며 연꽃을 띄워 두었다고 한다.
국보 제73호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고려시대
국보 제79호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
통일신라
사진 및 문화재 소개글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korea/heritage/sub_heritage.jsp?mc=KS_01_00
-----------------------------------------------------
[홍익인간]의 정신은 [사해동포주의]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민족,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공연히 배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다이나믹 코리아, 게이트웨이 투 더 월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우리 것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고등급 일본국보 회인과경(繪因果經) - 한국인의 작품 (0) | 2011.05.28 |
---|---|
[스크랩] 사진 몇장과 (0) | 2011.03.26 |
[스크랩] 한국 전통 등 (현대작품) 3 (0) | 2011.02.12 |
[스크랩] 만고의 세월이 바로 지금인 것을 (萬古卽長今) (0) | 2011.01.13 |
[스크랩] 한글의 과학성을 조금 보자면 (0) | 201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