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의 법칙(Frame law)
시장 통을 거처 가는 8번 버스엔
늘 승객들이 만원 입니다.

보따리 마다 주고 받은 정을
받아 온다고 들 입가에는 흐뭇한 미소를
매달고 있습니다.

한참을 달리던 버스 안에서
갑자기
아기 울음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잠시 후 그치겠지 했던 아이의 울음소리는
세 정거장을 거쳐 올 때 까지도 그칠 기미가 없어 보였습니다.

슬슬 화가 난 승객들은 여기 저기서
“아줌마 애기좀 잘 달래 봐요..”
“버스 전세 냈나..”
“이봐요. 아줌마 내려서 택시 타고 가요!
여러 사람 힘들게 하지 말고....
“ “아~짜증 나... 정말 “

아기를 업은 아줌마에 대한 원성으로
화난 표정들이 버스 안을 가득 매우고 있을 그 때
차가 멈추어 섭니다.

다들 의아한 표정으로 버스기사만 바라보고 있는 데
일어서서 문을 열고 나가 무언 가를 사들고
다시 버스에 오릅니다.

그리고는
성큼성큼 아이 엄마에게로 다가 간 버스기사는
긴 막대사탕의 비닐을 벗겨 아기 입에 물려주니
그제사야 아이는 울음을 그치고 맙니다.

다시 버스는 출발을 했고 버스 안의 승객들은
그제야 웃음이 번져 나왔습니다.
다음 정거장에서 내려야 하는 아이 엄마는
버스기사에게 다가 와 고개를 숙이며
"손등에 다른 한 손"을 세워 보입니다.

“고맙습니다..“라는 수화로 고마움을 표현한
아이 엄마는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청각 장애인 이었습니다.

아이 엄마가 내린 뒤
버스기사는 아주머니와 아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사랑의 불빛을
멀리 비추어 주고 있었어도
누구하나 "빨리 갑시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프레임 법칙이란,
똑 같은 상황이라도 어떠한 틀을 가지고
상황을 해석 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행동이 달라 진다는 법칙이다.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서로 간에 불협화음이 일어나곤 하는 것은
자기의 고정관념에서 나오는
선입견이나 편견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상대방을 배려함이 없이
모든 걸 자기 입장에서 자기 중심적으로 만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오게 되어
분쟁이 생기는 것이다.

선입견(先入見)은 자아의 성찰(省察)없는
자만(自慢)이나 오만(傲慢)에서
나오는 것이라 생각되어
모든 오해와 분쟁의 불씨라 생각된다.
- 옮겨 온 글 -
우리 님들~!
공감 "콕" 눌러 주시 길 부탁 드리구요!!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한잔)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