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션 서장원 기자
인간의 마음은 무엇으로 움직일까요. 정신분석학 발달사를 보면 초기에 지크문트 프로이트가 주장한 대표 동인(動因·사태의 원인)은 ‘리비도(libido)’였습니다. 리비도는 마음을 움직이는 에너지로 때로는 프로이트를 매도하기 위해 성욕이라고 강조됐지만 ‘즐거움을 얻으려는 에너지’ 정도가 적절한 번역입니다.
그는 한동안 리비도라는 개념으로 심리 발달, 일상 행동, 정신 병리 등 삶의 전반을 탐구했습니다. 그러다가 전쟁터에서 돌아온 군인의 꿈이나 아이의 놀이를 연구해서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또 하나의 동인, ‘타나토스(thanatos)를 제시했습니다. ‘죽음의 욕동(慾動·활동의 추진력)’입니다.
리비도와 타나토스는 대치되는 개념입니다. 리비도는 즐거움, 쾌락, 만족, 생존을 추구하나 타나토스는 고통, 좌절, 파괴, 죽음을 대변합니다. 리비도는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려고 하지만 타나토스는 소진하고 아무것도 남지 않는 상태로 돌아가려 합니다. 리비도는 애정이나 사랑으로 나타나고 타나토스는 공격성, 파괴성으로 발현됩니다.
단순화시키면 리비도는 긍정의 에너지, 타나토스는 부정의 에너지입니다. 리비도가 좋아하는 것을 빼앗기거나 성취하지 못하고 좌절하면 타나토스가 점화되어 폭발합니다. 정반대이지만, 흥미롭게도 리비도와 타나토스는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다닙니다. 이 모든 것의 시작, 과정, 끝을 무의식이 주도합니다. 프로이트는 리비도와 타나토스를 마음을 움직이는 두 축으로 보았습니다. 컴퓨터 운영체제 같은, 기본 틀로 여겼습니다.
물론 현대 정신분석학에서는 마음을 움직이는 동인을 리비도와 타나토스로 제한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대상관계의 추구’도 강력한 동인입니다. 타나토스도 그렇고 리비도 이론과 정신-성 발달 단계, 예를 들어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등은 드물게 언급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리비도-타나토스 이론은 세상일의 해석에 쓸모가 큽니다. 예를 들어 타나토스는 범죄의 동기 해석에 도움이 됩니다.
인간의 본성 탓에 ‘너 죽고 나 죽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밖에 없으니 살인 같은 강력범죄를 없애기는 불가능합니다. 인류의 마음에서 타나토스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한 폭력과 살인의 씨앗은 환경만 제공되면 늘 피어날 기회를 엿봅니다. 조심 또 조심하며 다른 사람 마음 안의 타나토스 뇌관을 건드리지 않고 현명하게 사는 게 삶의 지혜일 수도 있습니다.
강력범죄까지는 아니어도 일상생활에는 공격성이 넘쳐 납니다. 공격성과 리비도의 표현은 가끔 동전의 양면처럼 경계가 흐려집니다. 영화나 소설처럼 “당신의 매력에 푹 빠졌다”며 누가 접근한다면 유혹의 달콤한 말과 몸짓 뒤에 금전적 이득이나 오래된 원한의 한풀이 같은 이유가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푼돈으로 큰돈 벌게 해준다는 사기꾼의 솔깃해지는 언변에는 내 재산을 빼앗고 내 삶을 망치려는 공격성이 포함되어 있음을 잊지 마십시오.
세월이 흘렀지만 리비도의 중요성도 여전합니다. 인간 세상에서 성욕을 포함한 리비도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있을까요. 리비도의 일부인 성(性)은 태어나고(임신과 출산), 자라고(사춘기), 즐기고(성생활), 나이 들어가는(갱년기) 과정에서 절대적 영향을 끼치고 삶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성도착증을 대중이 접하는 예가 바로 관음증과 노출증입니다. ‘먹방(먹는 방송)’이나 다른 사람의 삶을 시시콜콜 들여다보는 TV프로에도 그런 요소들이 숨어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바바리맨’은 결정판입니다. 병으로 여겼던 동성애는 세계적으로 점점 ‘정상 범위의, 색다른 행위’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성적 표현을 이해하는 데 정신분석이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성폭행 역시 단순히 쾌락만을 추구한 행위가 아닙니다. 겉은 그렇게 보여도 안에는 공격성과 파괴성이 꽉 차 있습니다. 성폭행 가해자가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바는 피해자를 굴종시켜서 얻는 힘, 지배자의 권력입니다. 성폭행 행위는 개인적인 다양한 소망을 가해자가 성취하는 수단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집요합니다. 늘 매우 조심하지 않으면 피하기 어렵습니다.
정도언 정신분석가·서울대 명예교수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휩쓸린 순간 죽음의 공포..여름마다 수백명 삼키는 '이안류' (0) | 2019.07.13 |
---|---|
김동길 칼럼 <늙으면 어떡하지?> (0) | 2019.05.12 |
바다에서 별을 낚다 (0) | 2019.03.31 |
태초 우주의 비밀을 풀 열쇠 ‘오른손잡이 중성미자’는 어디로 갔을까? (0) | 2019.03.30 |
호미 (0) | 2019.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