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율(戒律)를 범(犯)한 웅준(雄俊)이
갑자기 죽어서 왕생(往生)함
<犯戒雄俊暴亡往生>
------------------------------------------------------------------------------------------------------------------------------------------------------------------------------------------------------------------------------------------------------------------------------------------------
주(註) 왕생징험전(往生徵驗傳)에서 말했다
당(唐)나라 석웅준<釋雄俊>은 성도(城都) 사랍이다 강설(講說)을 잘했으나
계행(戒行)을 지키지 않아서 시주(施主)와 이익(利益)을 얻은것을 법(法)답지않게 사용(使用)했다
또 일찍이 환속(還俗)하여 군대(軍隊)에
들어가 살육(殺戮)을 하고 재난(災難)을 피(避)해 달아나서 승려(僧侶) 무리<僧中>로 들어왔고
대력(大歷) 연중(年中)에 갑자기 죽어서 염라왕(閻羅王)을 만났는데
지옥(地獄)으로 들어가라는 판결(判決)을 받았다 웅준(雄俊)은 소리높여 말했다
웅준(雄俊)이 만약 지옥(地獄)에 들어가면 삼세(三世)의 모든부처님이 망어(妄語)를 한것이됨니다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서 말하기를 하품(下品)에 태어나 오역죄(五逆罪)를 지은 자(者)라도
임종(臨終)할때 십념(十念)을 하면 왕생(往生)할수있다 하였는데 웅준(雄俊)은
오역죄(五逆罪)를 짓지도 않았고
염불(念佛)로 말하면 그 수(數)를 헤아릴수가 알수없습니다 말을 마치자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往生)하여 연화대(蓮華臺)를 타고숨을 거두었다
------------------------------------------------------------------------------------------------------------------------------------------------------------------------------------------------------------------------------------------------------------------------------------------------
●닭을파는 장종규(張鐘馗)가 염불(念佛)하여 왕생(往生)함
販雞鐘馗念佛往生
------------------------------------------------------------------------------------------------------------------------------------------------------------------------------------------------------------------------------------------------------------------------------------------------
주(註) 왕생전(往生傳)에서 말하였다
장종규(張種馗)는 동주(同州) 사람이다 닭을 파는것을 업(業)으로 삼았다
영휘(永徵) 원년(元年)에 임종(臨終)에 이르러 군계(群鷄)가 집의 남(南)쪽에
모이는 것을 보았다 홀연(忽然)히 한사람이 붉은 비단(緋緞)으로 된 수건(手巾)을 두르고
나타나 닭을 쫓으면서 쪼아라 쪼아라하고 외쳤다 그 닭들이
네번썩 교대(交代)로 쪼았는데 양쪽 눈에서 피가 흘러나와 침상(寢牀)에까지 흘렀다
괴로워하고 있을때 보광사(普光寺)의 스님 도령포(導令鋪)를
만나 성상(聖像)에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부르다가
홀연(忽然)히 기이(奇異)한 향(香)내음을 맡고 엄연(儼然)히 숨졌다
------------------------------------------------------------------------------------------------------------------------------------------------------------------------------------------------------------------------------------------------------------------------------------------------
●소잡는사람 장선화<張善和>가
십념(十念)하여 왕생(往生)함
<屠牛張善和十念往生>
------------------------------------------------------------------------------------------------------------------------------------------------------------------------------------------------------------------------------------------------------------------------------------------------
주(註) 왕생전(往生傳)에서 말하였다
당(唐)나라의 장선화(張善和)는 소잡는것을 업(業)으로 삼았다 임종(臨終)할 때에
소<우(牛)> 여러 마리가 사람소리를 내면서 네놈이 나를 죽였지 하는것을 보았다
장선화(張善和)는 크게 공포심(恐怖心)을 느껴 아내에게 말하였다 급(急)히
스님을 청(請)하여 나를 구(求)해주오
스님이 와서 말하였다
십육관경(十六觀經)에서 말하기를 만약 사람이 임종(臨終)할 때
지옥(地獄)의모습이 나타나도 지극(至極)한 마음으로 나무(南無)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열번
염(念)하여 부르면 즉시(卽時)에 정토(淨土) 에 왕생(往生)한다고 하였습니다
장선화(張善和)는 향로(香爐)를 찾을 겨를도 없이 왼손으로 불을 잡고 왼손으로
향(香)을 들어 서쪽을 향(向)해 전심(專心)으로 간절(懇切)하게 염불(念佛)하였는데
십성(十聲)을 채우기도전에 말하였다
나는 아미타불(阿彌陀佛)께서 서(西)쪽으로부터 오시어
나와 함께 보좌(寶座)에 앉아 계시는것을 보았다
이말을 마치고 목숨을 마쳤다
------------------------------------------------------------------------------------------------------------------------------------------------------------------------------------------------------------------------------------------------------------------------------------------------
●원귀(寃鬼)를 본 중거(仲擧)가
급(急)히 칭념(稱念)하여 왕생(往生)함
<寃鬼仲擧急念往生>
------------------------------------------------------------------------------------------------------------------------------------------------------------------------------------------------------------------------------------------------------------------------------------------------
주(註) 용서정토문(龍舒淨土文)에서 말하였다
중거(仲擧)의 성(姓)은 진(陳)이고 또 이름은 선(仙)인데
용서군(龍舒郡)망강(望江)사람이다
일찍이 잘못하여 살인(殺人)을 하였는데 후(後)에 원귀(寃鬼)가 나타났다
선(仙)이 두려워하면서 급급(急急)하게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부르니
귀신(鬼神)이 감히 중거(仲擧)를 가까이하지 못했으며
염불(念佛)이 끝나지도 않아서 귀신(鬼神)이 사라졌다
그 후(後)에 항상(恒常) 염불(念佛)하여 임종(臨終)할때 앉아서 화거(化去)하였다
반년(半年) 후(後)에 본가(本家)의 손녀(孫女)인 묘광(妙光)에게 부(附)하여 말하길
나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였기 때문에
이미 서방정토극락세계(西方淨土極樂世界)에 왕생(往生)하였다라고 하는데
거동(擧動)과 언어(言語)도 평소(平素)살아있을 때와 마찬가지였다
친척(親戚)들이 서로알고 모두 찾아와서 보았다
이 삼일(三日)째에 이르러 집안사람이 말하였다 안타깝구나 네가 살아있을때 에
일찍이 귀신(鬼神)을 기꺼이 공양(供養)하라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중거(仲擧)가 몸을 나타냈는데 엄연(儼然)하여 평소(平素)살았을 때와 같은데 다만
얼굴에 조그만 얼굴 덮개를 두르고 있었다
서방(西方)에서는 장생(長生)하므로 부처님의 나계(螺髻)처럼 머리가 늙지
않는다고 하는데 망강(望江) 사람 주헌숙(周憲淑)이 왕일휴(王日休)에게 말해준 것이다
------------------------------------------------------------------------------------------------------------------------------------------------------------------------------------------------------------------------------------------------------------------------------------------------
●혹이 나는 병(病)에 걸린 오경(吳瓊)이
일성(一聲)에 왕생(往生)함
<瘤病吳覆一聲往生>
------------------------------------------------------------------------------------------------------------------------------------------------------------------------------------------------------------------------------------------------------------------------------------------------
주(註) 또 임안부(臨安府)에 인화(仁和) 오경(吳覆)이 있었는데 오경(吳瓊)은
먼저는 스님이었다가 후(後)에 환속(還俗)하여 전처(前妻)와 후처(後妻) 두아내를 얻었는데
그 둘을 앉혀놓고 고기를 잡고 술을 마시면서 하지못하는것이 없었다
항상(恒常) 다른 사람과 함께 요리(料理)를 하면서 오리와 닭 등(等)을 죽일때마다
손에 잡고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부르게 하였으며 너는 이 몸을 벗어나서 좋겠다 하고는
드디어 죽이고 연속(連續)해서
여러번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불렀다 고기를 자를때마다
한편으로는 고기를 자르고 한편으로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부르며
항상(恒常) 염(念)하여 부르는것을그만두지 않았다
마을사람들에게 경(經)을 염송(念誦)하고 참법(懺法)을 닦게 하였고
다른사람에게 아미타불(阿彌陀佛)
을 염(念)하라고 권(勸)하였다
후(後)에 눈에 닭과같은 혹이 생겼는데 이것을 크게 근심하고 공포(恐怖)를
느껴 초암(草庵)을 하나 짓고 그 처자(妻子)를 분산(分散)시킨
다음 주야(晝夜)로 염불(念佛)하고 참법(懺法)을 닦았다
소홍(紹興) 이십삼년(二十三年) 가을에 마을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오경(吳瓊)이 내일 술시(戌時)에 죽는다고 하니 사람들이 모두 비웃었다
가지고 쓰던 그릇과 발우(鉢盂)와 솥을 모두 다른사람에게 주고
다음날 늦게 도우(道友)인
행파(行婆)에게 말하였다 오경(吳瓊)이 떠날때가 거의 이르러 왔다 나와 함께
큰소리로 염불(念佛)하여 서로 돕자하고 포삼(布杉)으로 술을 마시고는
즉시(卽時)에 게송(偈頌)을 써서 말하였다
------술처럼 모든것이 공(空)하구나
선종(禪宗)의 깊은 이치(理致)를 묻노라
오늘을 소중(所重)히 여길지니
명월(明月)과 청풍(淸風)이로다--------
단정(端正)하게 앉아서 합장(合掌)하고 염불(念佛)을 하였는데
일성(一聲)을 부르자 부처님께서
맞이하러 오셔서 즉시(卽時) 숨을 거두었다
------------------------------------------------------------------------------------------------------------------------------------------------------------------------------------------------------------------------------------------------------------------------------------------------
오늘 이 도량(道場)의 동업대중(同業大衆)이여 이상(以上)에서 설한것과 같이 악업(惡業)을 짓고
흉(凶)한일을 행(行)하여 원업(冤業)을 지어 병고(病苦)에 걸려도 또한 왕생(往生)할수 있다
죄악(罪惡)을 지은 사람에게 권(勸)하니 마땅히 그렇게 생각해야 한다
나는 평생(平生)에 죄악(罪惡)을 많이 지었으니 하루아침에 눈이 어두워진 후(後)에는
장차(將次) 어찌하겠는가
시급(時急)히 참회(懺悔)하고 마음을 돌려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염(念)하여 부르고
이와같이 대원(大願)을 발(發) 해야 한다
원(願)하건대 제가 부처님을 뵙옵고 도(道)를 얻은 후(後)에는 태어난 이래(以來)로
피해(被害)를 입은중생(衆生)들을 정토(淨土)에 왕생(往生)하도록 모두 제도(濟度)하겠습니다
다 같이 지극(至極)하고 평등(平等)하며 한결같고 간절(懇切)한 마음으로
오체투지(五體投地)하여 세간(世間)의
대자비(大慈悲)하신 부처님께 귀의(歸依)하라
------------------------------------------------------------------------------------------------------------------------------------------------------------------------------------------------------------------------
나무 교주석가모니불(南無敎主釋迦牟尼佛)
나무 서방아미타불 (南無西方阿彌陀佛)
나무 당래미륵존불(南無當來彌勒尊佛)
나무 화일불(南無花日佛)
나무 군력불(南無軍力佛)
나무 화강불(南無花光佛)
나무 인애불(南無仁愛佛)
나무 대위덕불(南無大威德佛)
나무 범왕불(南無梵王佛)
나무 양명불(南無量明佛)
나무 용덕불(南無龍德佛)
나무 견보불(南無堅步佛)
나무 불허견불(南無不虛見佛)
나무 정진덕불(南無精進德佛)
나무 선수불(南無善守佛)
나무 환희불(南無歡喜佛)
나무 불퇴불(南無不退佛)
나무 사자상불(南無師子相佛)
나무 승지불(南無勝知佛)
나무 법씨불(南無法氏佛)
나무 희왕불(南無喜王佛)
나무 묘어불(南無妙御佛)
나무 애작불 (南無愛作佛)
나무 덕비불(南無德臂佛)
나무 향상불(南無香象佛)
나무 관시불(南無觀視佛)
나무 운음불(南無雲音佛)
나무 선사불(南無善思佛)
나무 문수사리보살(南無文殊師利菩薩)
나무 보현보살(南無普賢菩薩)
나무 관세음보살(南無觀世音菩薩)
나무 대세지보살(南無大勢至菩薩)
나무 청정대해중보살(南無淸淨大海衆菩薩)
-----------------------------------------------------------------------------------------------------------------------------------------------------------------------------------------------------------------------------------------------------------------------------------------------
또다시 이와같은 시방진허공계(十方盡虛空界)의
모든 삼보(三寶)와 한량(限量)없는 현성(賢聖)께 귀의(歸依)합니다 (일배(一拜))
------------------------------------------------------------------------------------------------------------------------------------------------------------------------------------------------------------------------
오늘 이 도량(道場)의 동업대중(同業大衆)이여 이상(以上)과 같이
왕생전(往生傳) 가운데서 설(說)한 사람들은
이미 예토(穢土)를 벗어나 서방정토(西方淨土)에 나아가서 포태(胞胎)를 버리고
칠보(七寶)의 연못에 꽃으로 피어났으니 만약 삼아승지겁(三阿僧祗劫)을 지나지 않고
곧바로 불도(佛道)를 이루며 신속(迅速)히 생사(生死)를 뛰어넘어
열반(涅槃)의 영원(永遠)한 즐거움<상락(常樂)>을 얻고자 한다면
이 왕생일문(往生一門)보다 뛰어난것이 없다
---------------------------------------------------------------------------------------------------------------------
'삼라만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릉도원에서 살고 싶습니다 (0) | 2016.03.02 |
---|---|
[스크랩] 사람에게 있는 6가지 감옥 (0) | 2016.02.24 |
[스크랩] 본지풍광 제33 조주양화 - 버들꽃(趙州楊花) (0) | 2016.02.24 |
[스크랩] 마른 나무가 차디 찬 바위에 기댔을 뿐이니(법전 큰스님) (0) | 2016.02.24 |
[스크랩] 진아(眞我) 개념 파헤치기 (0) | 2016.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