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스크랩] 350명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속 빈 여자

황령산산지기 2015. 3. 27. 16:19

 

사람들은 죽음 앞에 서면 심리적으로 두렵고 심한 상실감과 고통을 겪게 됩니다. 그러한 고통을 덜어주는 프로그램으로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죽음에 직면한 사람에게 절망이 아닌 희망을 가지도록 하며 죽음을 부정적으로 맞지 아니하고 마음을 편안하게해주며 희망의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게 해주는 일을 합니다.

지난 10월 말 부산시 서구 아미동 부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 연분홍 자원봉사자 조끼를 입은 유애옥(54)씨가 병상에 누운 담낭암 말기 환자 김하영(가명·65)씨에게 다가갔습니다.「어머님, 죽음은 끝이 아니에요. 우리가 지금 애벌레라면, 죽음 이후에는 나비가 되는 거예요. 나비처럼 더욱 아름다워져요. 그 모습 생각해보세요.」30분 동안 유씨는 김씨의 앙상한 손을 잡고 놓지 않았습니다.

「고마워요. 선생님…. 그렇게 말해주시니 마음이 놓이네요.」 김씨가 희미하게 웃었습니다. 유씨가 일주일 뒤 호스피스 병동을 다시 찾았을 때 김씨의 침대는 텅 비어 있었습니다. 또 하나의 생명이 그렇게 숨을 거뒀습니다. 유씨가 보낸 350번째 생명이었습니다.

「생전 그리 아등바등하면서 살아도 죽을 때 자기 몸뚱이 하나 어쩔 수 없는 게 인간임을 깨달았습니다.」유씨는 지난 2005년 위암 진단을 받고 위·비장·쓸개·췌장을 잘라냈습니다. 「사람들은 다 제가 죽을 거라고 했어요.」 위를 모두 잘라내 소화가 더딘 탓에 밥 한 숟가락을 먹는 데 30분이 걸렸습니다.

10년 전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던 호스피스 병동 봉사에 몰두하게 된 건 이때 이후입니다. 「이거 다 잘라내고도 살아 있으니까, 사실 덤으로 얻은 목숨이죠. 더 많은 사람에게 힘이 돼주라고 하늘이 살려준 거라고 생각해요.」 그는 자신을 <속 빈 여자>라 불렀습니다. 장기가 없어져 속이 비었지만, 마음도 비웠다는 의미입니다.

지난해 11월 병동에 들어온 담관암 말기 김숙자(가명·58)씨는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2주 동안의 호스피스 병동 입원기간 내내 남편은 병상의 아내를 단 두 번 찾았습니다. 김씨가 숨을 거두던 날의 일입니다. 남편과 아이들이 김씨의 임종을 지켜보러 찾아왔습니다. 자녀가 어머니 뺨에 입을 맞추며 마지막 인사를 건네는 동안 60대 남편은 등을 돌린 채 돌아보지 않았습니다.

지켜보던 유씨가 남편의 손을 잡고 말했습니다. 「선생님, 사모님께 한마디만 해주세요. '사랑했다' '고마웠다'고요.」 한사코 거부하던 남편이 김씨를 향해 <사랑했소!>라고 했습니다. 말을 마친 뒤 남편은 아내의 얼굴을 몇 분간 말없이 쳐다봤습니다. <내가 미안하오. 잘 못했소….> 남편은 바닥에 주저앉았고, 호스피스 병동은 남편의 울음소리로 가득 찼습니다.

2004년 대장암 말기로 입원했던 한영애(가명·40)씨는 큰아들이 일곱 살 때 이혼하고, 두 남매를 의붓어머니에게 맡겼습니다. 임종을 앞두고 아이들이 보고 싶었지만 <내가 무슨 면목으로 애들을 보겠느냐>며 망설이던 그였습니다. 「어머니, 하나도 안 늦었어요. 계속 전화하세요. 전화해서 '사랑한다!'고 하세요.」 열 번 통화 끝에 아들과 딸은 전화를 받았습니다.

<미안해. 엄마가 잘못했어. 사랑했어. 엄마 죽은 다음에도 계속 사랑할 거야.> 아이들은 10년 만에 만난 친엄마의 임종을 지켰습니다. 마지막 선물로 은 목걸이를 목에 걸어줬고, 한씨의 이마와 볼에 입을 맞췄습니다. 평생 번 돈을 동생에게 빌려주고 돌려받지 못한 언니는 <죽을 때까지 동생을 보지 않겠다.>고 했지만, <그 많은 돈, 한 푼도 못 가져간다.>는 유씨의 설득에 동생을 용서했습니다.

수년 만에 재회한 자매는 <사랑해>라는 말만을 주고받으며 눈물을 쏟았다고 합니다. 「결국 마지막 순간에 우리에게 남는 건 사랑뿐이라는 진실을 알게 됩니다.」유씨는 매주 서너 번씩 금정산을 오릅니다. 체력도 보강하고, 자신의 '기부통장'을 채우기 위해서입니다.

「산에 버려진 빈 병을 주워다 내다 판돈으로 1년에 50만원씩 모았어요.」 암 진단을 받고 이제 더는 봉사를 못하게 됐으니 돈이라도 남기고 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모은 돈이 어느새 320만원을 넘었습니다. 매년 50만원을 부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기부하기도 합니다. 「기부통장'의 돈은 죽을 때까지 계속 모을 겁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우리는 자주 주위 사람들의 죽음과 직면하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전엔 나와는 거리가 멀다 생각하던 죽음, 생각조차 잘 하지 않았던 죽음지만‘내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하는 생각이 문득 들게 합니다. 영원할거라고만 생각해오다가 죽는다는 생각에 미치면 누구나 숙연해지게 됩니다.

인간이면 누구나 죽게 됩니다.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죽음이란 어느 때 방문해 오는 사건이 아니라 인간 탄생 때부터 붙어있는 사실이다.>라 했습니다. 그래서 죽음은 준비되어야 합니다. 아무리 죽음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싫다 해도 얼마 안가서 죽음을 만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길을 가다가 지금 천국에 갈 수 있느냐는 물음과 지금 죽어서 천국에 간다면 가겠냐는 전도지를 받고 <내가 지금 죽는다면,> 그 질문에 그리스도인으로 그럴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그럴 믿음의 용기가 없는 것 같습니다. 천국이 좋긴 하겠지만 아직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인생을 살면서 여러 가지 준비를 하며 삽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죽음을 안다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축복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죽는다는 사실이 삶을 바르고 보람되게 살도록 채찍질하기 때문입니다.

바울의 고백입니다. 나는 날마다 죽습니다.<고린도전서 15장 31절> 우리는 죽음을 미래의 막연한 사건으로 인식하지 않고, 오늘의 사건으로, 그리고 순간마다의 사건으로 인식하며 살아야합니다.

죽음 앞에 서는 준비로 사람은 거짓이 없어야합니다. 헛된 욕심을 부리지 않아야합니다. 겸손하고 착하게 살아야합니다. 모든 것을 용서하고 이해해야합니다. 바울처럼 우리도 매 시간마다 죽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죽음을 오늘의 사건으로 인식하고 산다면 그 삶은 엄청나게 달라져야합니다.

몽테뉴는 수상록에서 <인간 생애의 목적은 죽음이다. 그래서 사람이 죽음을 멀리하거나 잊어버리려 하는 것은 산다는 목적을 잃어버리는 어리석음이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신앙이 죽음을 알기에 더 철저해져야합니다

출처 : 아코디언 음악 사랑
글쓴이 : 유리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