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차이가 많아도 괜찮아요. 아무 문제가 없어요.
나이가 뭐 자기야 70된 노인하고 살든지 말든지 자기 인생이지 내가 거기 간섭할 게 뭐가 있어요?
다만 남자가 젊은 여자하고 살면 고 때는 좋은데 늙으면 어때요? 고생이다.
왜? 젊은 여자하고 같이 살면 자기가 어느 정도 체력이 될 때는 되는데
늙으면, 예를 들어서 나이가 50이고 여자가 30이다. 하면 괜찮은데,
남자가 나이가 70이고 여자가 50이다 하면
이때는 남자가 여러 가지로 열등의식을 느낄 거 아니겠어요? 그죠?
그러면 자꾸 여자한테 딴 신경 쓸까? 안 쓸까?
질투심도 느끼고 자꾸 신경 쓰겠죠. 그죠?
그러면 자기 인생이 불행해진다. 이 얘기지.
그러니까 그렇게 차이가 날 때는 나이가 늙고 여자가 젊거나 반대가 되거나 하면
아~ 여자는 그 나이 때 내가 늙었으니까 딴 남자 좀 만나도 된다.
이렇게 툭 터놓고 살면 늙어도 아무 문제가 없어요.
그런데 힘이 안 되는데 그거를 어떻게 움켜쥐려면 고생이다. 이 얘기지.
반대로 여자도 20살밑의 남자하고 결혼했다. 그러면 뭐 지금은 문제가 없어요.
그런데 나이가 들면 문제가 생기죠.
그러고 어디 가도 사람들이 묻죠. 엄마냐고.
자꾸 묻고 이러면. 자꾸 여러 가지로 대답하기 곤궁하지 않습니까? 그죠?
이런 과보가 따른다. 이 얘기지.
스님이. 그러니까 윤리 일반적인 관습에 맞게 살면 그런 부작용이 제일 적다.
이런 얘기고. 그다음에 그런 어떤 일반적인 관습을 넘어서려면
그런 부작용을 뭐해라? 각오해라. 이 얘기지.
스님 얘기는. 하지 마란 얘기가 아니고.
그다음에 여자들이 아버지 같은 남자를 좋아한다.
보호본능이 있으면 아버지 같은 남자를 좋아하거든요.
그렇게 되면 그건 보호받는 건 좋은데 나중에 자유가 좀 있을까? 없을까? 없겠죠.
뭐든지 다 잔소리하고 이러죠. 감옥살이하는 거지.
남자가 탁~ 야성적이고 패기 있다.
이렇게 학교 다닐 때 보니까 쫙~ 리더십도 있고 좋더라.
이런 남자하고 결혼하면 집에서도 독재하거든요. 그러면 숨도, 살기가 힘들지 뭐.
남자가 사근사근하고 친구끼리 대화도 잘하고 아~ 여자 친구처럼 그렇게 친절하고 좋더라.
이런 남자하고 같이 살면 줏대가 없어서 문제죠.
늘 이렇게 작용과 부작용이 있는 거요. 그러니까 그걸 각오해야 되는데.
우리는 늘 때로는 ‘아버지 같아라.’ 하면 아버지 같고,
‘야성적이라.’ 하면 야성적이고, ‘하인 같아라.’ 하면 하인 같고.
이런 식으로 너무 많은 거를 요구한다는 거요.
그런데 사람이 그렇게 안 된다는 거요. 여자도 반대로 그렇고.
그런데서 어떤 그런 솜이면 부드럽지마는 날카롭지가 못하고
칼이면 날카롭지마는 부드럽지가 못하고 이런 것이 있는데
우리는 늘 하나를 구해놓고는 너는 솜 같았다가 칼 같았다가
이렇게 만병, 뭐라고 할까? 도깨비 방망이가 되기를 요구하는데 인생은 그렇지가 않다 이 얘기요.
이런 질문 하는 걸 보니 어린 남자를 좋아해요?
나이 든 남자를 좋아해요? 위에 남자를 좋아해요?
위에 남자하고 좋아하면 데이트할 때 참 좋아요.
왜냐하면, 남자가 나이가 드니까 좀 생활력이 있을까? 없을까? 생활력이 있겠죠.
또래 만나면 뭐 애들 버릇도 없고 돈도 없고
그런데 나이 좀 든 남자 만나면 척~ 여자한테 신사적으로 대해주고
어디 밥 먹으러 가도 이런데 우동 집에 안 데려가고 어디 데려간다?
호텔 집에 데려가고. 탁~ 하니까 좋지.
그런데 그런 거 좋으면 나중에 그만큼 장애가 있다. 이 얘기요.
그걸 미리 알아야 되는데 물고기가 낚싯밥을 무는 건 좋은데 가시가 걸린다. 이 얘기지.
그거의 단점을 장점을 같이 알고 해라. 안 그러면 나중에 후회한다.
미리 알면 괜찮다. 미리 알고 각오를 해라.
몇 살쯤 많아요? 한 10살쯤 많아요? 20살쯤 많아요?
지금은 없는데 앞으로. 으음. 그렇게 알고 하라 이 얘기요.
또 물어보세요. 됐어요?
뭐 이해심 보는 눈, 그런 거 따질 필요 없고 남의 인생에 간섭을 안 하면 되요.
남의 인생에 간섭을 안 하면. 아무 문제가 없어요.
성질내면 ‘아~ 저 사람 성질이 그렇구나.’
늦게 오면 ‘저 사람 가끔 늦게 오는 거구나.’
빨리 오면 ‘빨리 오는 거구나.’
돈 있으면 ‘있는 거구나.’ ‘~구나’ ‘~구나’만 할 줄 알면 아무하고 살아도 상관없어요.
그게 이해심이 있다면 이해심이 있는 거고, 그게 넓게 본다면 넓게 보는 거고,
그러니까, 네 상대를 내 생각으로 움켜쥐려고만 안 하면
길가는 사람 아무하고 살아도 별문제 없어요. 사실은.
이 세상에 모든 사람은 다 고만고만하게 다 괜찮아요.
또 문제 보면 다 고만고만하고 문제가 있어요.
문제가 있다고 보고 문제 삼을 거냐? 괜찮다고 보고 괜찮을 거냐?
어느 쪽이냐? 자기 판단이죠. 다 괜찮다. 이래 보면 다 괜찮아요.
다 괜찮으니까 이렇게 살지. 안 그러면 어떻게 살겠어요? 그죠?
내가 사귀다가 필요 없다고 버린 남자도 딴 여자 주워서 살아요? 안 살아요? 살아요.
그래서 다 사람은 괜찮아요. 내가 어떻게 보느냐? 이 문제지.
그러니까 내가 이렇게 조금 뭐 상대를 인정하고 보면, 사는 데 지장이 없어요.
같이 살 때는 같이 살다 죽으면 또 울고불고 그러지 말고 ‘죽었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또 딴 남자는 어떤가 싶어 재혼한 번 해보고 이렇게 살면 되거든요.
그럼 아무 문제가 없지 뭐. 살아도 괜찮고 죽어도 괜찮고.
그런데. ‘내가 살아라.’ 하면 살아야 되고 ‘죽어라.’ 하면 죽어야 되고,
내 명령대로 하라니 이게 문제지.
그래서 나만 문제가 돼 있으면 인생살이에 준비가 돼 있으면,
남을 탓하지만 않으면 사는데 아무 지장이 없어요. 마치 날씨하고 똑같아요.
내가 오늘 소풍 가는데 ‘날씨 맑아라.’ 하는데 안 맑으면 날씨 갖고 탓하고 그러잖아요.
오늘 모내기하라는데 ‘비 와라.'하는데 비 안 온다고 날씨 탓하고 이런 거 하고 똑같아요.
그러니까 날씨는 상관 안 하고 내가 그냥 이래 보고 아침에 추우면 옷 하나 더 입고 가고,
더우면 옷 하나 벗고 가고, 비 오면 우산 쓰고 가고, 눈 오면 장화 신고 가고. 이러면 돼요.
그러면 날씨야 오려면 오고 맑으면 맑고, 니 알아서 해라. 이러고
나는 자유롭게 사는 거요. 거기 적응해서 살면 되니까.
그게 이제 내 삶은 내가 세상의 주인이 돼서 사는 태도지.
그런데 대부분 질문할 때 물어보세요.
아이고 죽겠어요? 왜?
자식 때문에요. 남편 때문에. 아내 때문에, 부모 때문에, 뭣 때문에요, 뭣 때문에요.
전부 날씨 타령하듯이. 오늘 비가 너무 많이 왔어요. 눈이 왔어요. 추웠어요. 더웠어요.
만날 이런 얘기하고 똑같지 뭐.
그러니까 이제 세상이 내 뜻대로 되는 게 아니니까 세상을 보면서 거기서 맞춰서 살면 돼요. 네.
- <법륜스님>
'책!책!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재인생 自在人生 / 성암법사 (0) | 2015.02.02 |
---|---|
[스크랩] Re:풍요1편 - 당신은 로렌입니까 다이앤입니까? (0) | 2015.01.31 |
[스크랩] [명상글] - 윤기(潤氣) (0) | 2015.01.30 |
[스크랩] 孔子曰/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0) | 2015.01.28 |
[스크랩] 도덕경 6장 곡신불사(谷神不死) - 부제:생명력은 소멸되지 않고 영원히 순환한다. (0) | 201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