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수이식후 예방접종에 관하여 | ||
♥ 이홍기 교수 | ||
♥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 ||
♥ 2000년 8월 | ||
서 론 예방접종은 감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비용 효과적인 것이다. 소아에서는 보편적으로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DPT), 소아마비, 홍역-볼거리-풍진(MMR), 인플루엔자 균 b 형, B 형 간염, 결핵(BCG)에 대한 예방접종이 실시되고있으며, 성인에서는 디프테리아-파상풍(DT), B 형 간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폐렴구균에 대한 예방접종이 실시된다. 수동면역화란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제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일시적인 예방효과만이 있는 반면에, 능동면역화란 백신을 투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말하는 예방접종이 이에 해당한다. 이식 후 대부분의 동종이식 환자와 다수의 자가이식 환자는 소아마비, 파상풍, 디프테리아, 홍역에 대한 면역을 점차로 상실하게 된다. 또한 이식 환자들은 인플루엔자 균과 연쇄구균성 폐렴균에 의한 감염이 잘 발생한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 후 적절한 시기에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예방접종의 원칙 이식 후 첫 한달 동안 면역반응은 매우 낮다. 세포독성 기능과 식세포 기능은 이식 후 100일이 지나야 회복되며, 림프구의 면역기능은 1년 이상이 경과되어야 회복된다. 특히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을 앓고있는 환자의 면역기능은 지속적으로 저하되어있다. 동종골수이식과 비교해서, 자가이식 혹은 동종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에는 면역기능이 더 빨리 회복되는 반면에, T-림프구 제거, 조직적합항원 불일치, 혹은 비혈연간 골수이식 시에는 면역기능의 회복이 늦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식 후 예방접종의 방법은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식 후 생(生)백신에 의한 예방접종이 금기인 환자는, 1) 자가이식 후 만 2년 이내의 환자 2) 동종이식 후 만 2년 이내의 환자 3)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 4)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을 앓고있는 환자 5) 이식 후 악성종양이 재발한 환자 와 같이 면역기능이 회복되지 않은 환자가 이에 해당하며, 만약 이들이 생백신을 접종받게 되면 주입된 균에 의해서 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에게 접종 금기인 생(生)백신은, 1) 아데노바이러스 2) 결핵(BCG) 3) 경구용 소아마비 생백신 4) 홍역-볼거리-풍진(MMR) 5) 장(腸)티푸스 6) 황열(黃熱) 이 이에 속한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예방접종에 관한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이식 후 최소한 4개월 이내에는 어떤 접종도 금기 2)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에게는 생(生)백신은 금기 3)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와 함께 동거하는 사람은 생(生)백신 접종 금기 4) 예방접종 후 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항체 역가를 측정 5) 수회에 걸친 접종이 필요 6) 정주용 면역글로불린 사용 시 면역반응이 저해될 수 있음 예방접종 후 면역반응의 측정 예방접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혈청 내 항체의 수치를 측정한다. 어떤 질환에 대한 특정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그 질환에 대한 감염예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면역반응(항체 생성)이 감염예방에 중요하다. 수동면역 예방접종에 의한 능동면역 외에도 이식 후 환자에게 특정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는 수동면역이 있다. 예로써, 동종골수이식 후에 세균 감염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 이식 후 4개월까지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한다. 그러나 오랜 기간동안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게되면 수동면역에 의해서 오히려 면역기능의 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면역글로불린의 투여 중지 후에는 감염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
출처 : 매직이펙트
글쓴이 : 페가수스_21 원글보기
메모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병 고혈압 잡는 생강식초~♠ (0) | 2014.10.03 |
---|---|
[스크랩] 쥐가났을 때 즉효(卽效) (0) | 2014.10.02 |
[스크랩] 잘못 알고있는 백혈병과 골수이식 상식 (0) | 2012.11.12 |
[스크랩] 중심정맥관시술과 색전술과의 차이점 (0) | 2012.10.17 |
[스크랩] 잘못 알고있는 백혈병과 골수이식 상식 (0) | 201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