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의 '만종(晩鍾)'에 얽힌
슬픈 이야기♡
밀레의 '만종'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그림입니다.
그 그림이 밀레의 대표작이라서가
아니라,
초등시절부터 미술 교과서에서 익히 보아 왔던 그림의
원본를
직접 볼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루브르 박물관에
있었던
다른 나라 관람객들도
'모나리자'와 '만종' 앞에 유난히
많이
몰려있었습니다.그런데 저는 그 때 이 그림 속에
아주 슬픈 사연이
숨어 있었다는
것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이 그림에
숨어있는
슬픈 이야기는 귀동냥으로 알고 있었는데
최근에 한 지인이
바르비종 마을 사진과 사연을 보내왔어요.
그래서 글과 사진을
정리하고 다시
편집해
보았습니다.
혹시 앞으로
밀레의
'만종'을 보시게 되면
이러한 숨은 이야기를
생각하면서
그 그림을 감상해 보시면 좋겠다
싶어서요.
똑같이 그림을 보거나 음악을 들어도
그 배경과 숨은
이야기를 알고서 감상하는 것과
모르고 감상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또한 '아는 것 만큼
보이고,
아는 것 만큼 즐길 수 있다.'는
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프랑스 화가하면
떠오른 사람은
밀레이고,
밀레하면
만종, 이삭줍기, 씨뿌리는 사람 등
명작들이
바르비종( Barbizon) 마을에서 그려졌다고
합니다.
바르비종 마을앞
명작을 탄생시킨 넓이를 간음할 수
없는
넓은 경작지. 밀레는 저 먼 숲 근처에서 화필을 들었을
것입니다.
바르비종 마을 입구에 세워진
안내판
바르비종 동구
바르비종 뒤편 마로니에 가
무성하다
바르비종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
바르비종 안길 양편은 옛날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밀레가 사용했던 화방 , 지금은 유물 전시장
활용
밀레화방 입구 이
전시실에는
여러가지 유품이 전시되고
있다.
바르비종은 관광지화 되어 고급
휴양지로 변모되고
명작 진품은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으로부터
100년전,
백화점 소유주였던 '알프레드
쇼사르'가
80만 프랑에 이 작품을 구입해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한
후
한번도 거래된 적이 없었던 '만종'은
값을 매긴다는게 불가능한
보물이다.
그러나 작품이 처음 만들어진
1860년 당시
밀레는 물감을 살 돈조차 없는
가난한 화가에 불과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화상
'아르투르 스테반스'가
그림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1,000프랑을
지원한다.
이 1,000프랑으로
탄생한 그림이 바로
'만종'이다.
이렇게 탄생한 만종은 100년만에 80만 프랑
값어치를 얻었고
그로부터 또 100년이 지난 지금
프랑스의 자존심이자
전 세계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보물이 된
것이다.
1,000 프랑을 지원한 것이 국부(國富) 를 일구어 낸
것이다.
루브르에 돌아오기 전 '만종'은 미국 아메리카
미술협
회에
팔렸다.
프랑스 측은 국회와 행정부는 물론
모금활동까지 벌여가며
' 만종'이 미국에
팔리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부자나라
미국을 당할 수는
없었다.
프랑스가 자존심이 상한 채 주저앉아 있을
무렵
백화점 재벌 알프레드 쇼사르가 미국에 엄청난 대가를
지불하고
' 만종' 을 다시 사들인
것이다.
쇼사르는
이 그림을 개인 자격으로
유하지 않고 루브르에
기증했다.
예술의 가치를 알아본 쇼사르가
없었다면
"만종"은 지금쯤 미국 어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을
작품이다.
이 그림은 '이삭줍기'와 더불어 많이 알려진 그림 중
하나다.
그림을 보면
하루 일을
마치고 농부 부부가
교회
종소리를
들으며 기도하는 평화로운 그림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그림에는 슬픈
이야기가 숨어
있다.
농부 부부가 바구니를
밭밑에 놓고 기도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 바구니가 감자씨와 밭일 도구를 담은
바구니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은 그 바구니에는 씨
감자가
들어있던 게 아니라
그들의 사랑하는 아기의 시체가 들어
있었다.
그
시대,
배고픔을 참고
씨감자를 심으며 겨울을
지내면서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아기는
배고픔을 참지 못해 죽은 것이다.
죽은 아기를 위해
마지막으로
부부가 기도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 바로
'만종'이다.
그런데 왜 그림 속의 아기가 사라졌을까?
이 그림을 보게 된
밀레의 친구가 큰 충격과 우려를 보이며
아기를
넣지 말자고 부탁을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밀레는
고심 끝에 아기
대신 감자를 넣어 그려
출품했다고
한다.
그 이후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채
그저 농촌의 평화로움을 담고 있는 그림으로
유명해졌다.
'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1904-1989)는 정말 남 달랐다.
밀레의 '만종'을 보면
누구라도 신성한 노동후의 고요한 정적과 평화를 느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을 보고 '달리'는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맛보았다.
그 불안감이 얼마나 집요하게 그의 뇌리에 달라
붙었는지
' 달리'는 오랜동안 그 까닭을 알아내려
했고,
그에 관한 책을 쓰기까지
했다.
' 달리'의 직관은
밀레의
<만종>에
그려진 감자 자루를 어린 아이의 관으로
보고 이루 말할 수
없는 불안을 느꼈던 것이다. 수십 년 후, 이러한
'달리'의 투시력은
환각이 아니라 실제로 정확한
관찰이었음이 밝혀졌다
루브르 미술관이
자외선 투사작업을 통해 그 감자 자루가 초벌
그림에서는 실제로
어린아이의 관이었음을 입증한 것이다.
바르비종(Barbizon)은 밀레나, 루소의
활동무대였다.
.
파리의 아틀리에 틀어
밖혀서
아카데믹한 그림만 그리고있는 어용화가들과
인연을 끊고
농촌으로 이주해 움직이는 농민의 모습을
그린테 그드로, 루소, 밀레, 디어스테라페나 등의
미술혁명가들이
농민과 함께 생활하던
곳이다.
*** 받은 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