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스크랩] 한국 문화재 사진 몇점 10

황령산산지기 2012. 4. 12. 07:37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경산 환성사 대웅전 (慶山 環城寺 大雄殿)

경북 경산시  하양읍

조선시대

보물  제562호

 

 

 

 

 

 

 

 

 

 

 

 

 

 

 

 

여수 흥국사 홍교 (麗水 興國寺 虹橋)

전남 여수시  중흥동

조선시대

보물  제563호

 

조선 인조 17년(1639)에 세워진 다리

 

 

 

 

 

 

 

 

 

 

 

 

 

창녕 영산 만년교 (昌寧 靈山 萬年橋)

경남 창녕군  영산면

보물  제564호

 

조선 정조 4년(1780)에 처음 쌓은 것을 고종 29년(1892)에 다시 쌓아 놓은 것으로, 지금도 마을 사람들이 통행할 만큼 튼튼하여 홍수 등에도 전혀 피해가 없다고 한다.

 

 

 

 

 

 

 

 

 

 

 

 

 

 

 

위 작품 등 26점

 

안중근의사 유묵 (安重根義士 遺墨)

대한제국시대

보물  제569호

 

 

 

 

 

 

 

 

 

 

 

 

 

융기문토기 (隆起紋土器)

선사시대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보물  제597호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패총에서 출토

 

 

 

 

 

 

 

 

 

 

 

 

 

 

고령 장기리 암각화 (高靈 場基里 岩刻?)

선사시대

경북 고령군  고령읍

보물  제605호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

후기신라(통일신라)

경북 김천시  대항면

보물  제607호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英陽 化川里 三層石塔)

신라

경북 영양군  영양읍

보물  제609호

 

 

 

 

 

 

 

 

 

 

 

 

 

 

 

 

 

 

영천향교 대성전 (永川鄕校 大成殿)

경북 영천시 

조선시대

보물  제616호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皇南大塚北墳 金製釧 및 金製指環)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보물  제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皇南大塚北墳 金製高杯)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보물  제626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皇南大塚南墳 金製冠飾)

신라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30호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慶州 皇南洞 金製垂飾)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보물  제633호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慶州 皇南洞 象嵌琉璃玉)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보물  제634호

 

 

 

 

 

 

 

 

 

 

 

 

 

 

 

차륜식토기 (車輪飾土器)

가야

국립진주박물관

보물  제637호

 

 

 

 

 

 

 

 

 

 

 

 

 

 

인천안목 (人天眼目)

조선시대

보물  제640호

 

 

 

 

 

 

 

 

 

 

 

 

 

 

백자철회운룡문호 (白磁鐵繪雲龍文壺)

조선시대

보물  제645호

 

 

 

 

 

 

 

 

 

 

 

 

 

가정을묘명 천자총통 (嘉靖乙卯銘 天字銃筒)

조선시대

국립진주박물관

보물  제647호

 

조선 명종 10년(1555)에 만들었음

 

( 이러한 대포들이 외적을 물리치는 데 많이 사용되었죠.)

 

 

 

 

 

 

 

 

 

 

 

 

 

 

 

 

 

 

 

 

 

 

 

 

 

 

 

자수 사계 분경도 (刺繡 四季 盆景圖)

고려시대

한국자수박물관

보물  제653호

 

 

이 분경도는 중국 송나라의 분경자수 병풍에 비할 때 한국적인 요소가 뚜렷하며,

특히 꼰사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한국 자수의 특징이며 색감도 안정적이다.

 

 

 

 

 

 

 

 

 

 

 

 

 

 

자수가사 (刺繡袈裟)

조선시대

보물  제654호

 

흰색의 공단 바탕에 위의 그림들을 자련수·평수·선수 등의 기법과 노랑·주홍 등의 색상을 사용하여 정교하고 아름답게 수놓고 있다.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

 

조선시대

보물  제656호

 

조선 전기인 태조 1년(1392)부터 그 이듬해인 1393년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된다.

 

 

 

 

 

 

 

 

 

 

 

 

 

 

 

( 홍의장군 곽재우 유물 )

 

 

마구(馬具)

(말안장)

 

 

 

 

 

 

 

 

곽망우당 유물 (郭忘憂堂 遺物)

조선시대

보물  제671호

 

망우당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유물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가 사용하였던 장검, 말갖춤(마구) 및 평소 사용했던 포도연, 사자철인, 화초문백자팔각대접 등 6점이다.

 

 

 

 

사진 및 문화재 소개글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korea/heritage/sub_heritage.jsp?mc=KS_01_00

 

()안은 퍼온이의 글입니다.

 ----------------------------------------

 

 

 

 

 

2004년도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작 중에서

 

 

 

 

승무

 

 

 

 

 

 

 

 

 

 

 

 

 

 

 

 

 

 

 

 

 

 

 

 

 

 

 

 

한복

 

 

 

 

 

 

 

 

 

 

 

 

 

운흥사

 

 

 

 

 

 

 

 

 

 

 

 

 

광화문 - 서울

 

 

 

 

 

 

 

 

 

 

 

 

 

경복궁 - 서울

 

 

 

 

 

 

 

 

 

 

 

 

 

 

덕수궁 - 서울

 

 

 

 

 

 

 

 

 

 

 

 

 

 

팔당호 - 경기

 

 

 

 

 

 

 

 

 

 

 

 

 

 

경복궁 - 서울

 

 

 

 

 

 

 

 

 

 

 

 

 

 

염주대 - 서울

 

 

 

 

 

 

 

 

 

 

 

 

 

경복궁 - 서울

 

 

 

 

 

 

 

 

 

 

 

 

 

 

차귀도 - 제주도

 

 

 

 

 

 

 

 

 

 

 

 

 

 

봉원사 - 서울

 

 

 

 

 

 

 

 

 

 

 

 

 

 

남한산성 - 경기도

 

 

 

 

 

 

 

 

 

 

 

 

 

 

꽃무릇 - 전북 고창

 

 

 

 

 

 

 

 

 

 

 

 

 

 

첨성대 - 경주

 

 

 

 

 

 

 

 

 

 

 

 

 

불국사 - 경주

 

 

 

 

 

 

 

 

 

 

 

 

 

 

송광사 - 전남 순천

 

 

 

 

 

 

 

 

 

 

 

 

 

 

순천만 - 전남

 

 

 

 

 

 

 

 

 

 

 

 

 

 

 

 

 

 

 

 

 

 

 

 

 

 

 

 

서울타워 - 서울 남산

 

 

 

 

 

 

 

 

 

 

 

 

 

태권도

 

 

 

 

 

이상 모두 한국내에서 찍힌 사진들입니다. 

 

[사진제공 - 한국관광공사]

 

 

-----------------------------------------------------

 

[홍익인간]의 정신은 [사해동포주의]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민족,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공연히 배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다이나믹 코리아, 게이트웨이 투 더 월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출처 : 한국고대사
글쓴이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원글보기
메모 :